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 배너 부분

교육과정 재미있고 유익한 해양관련공개강좌를 무료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1. 홈
  2.  >  교육과정
  3.  >  상세내용

서브 본문영역

해양생물의 이용과 해양과학의 발전

샘플 해양생물의 이용과 해양과학의 발전
해당 게시글 링크 복사하기
교육과정 상세표_ 신청기간, 강사명,강사소속,교육시간으로 이루어짐
신청기간 상시모집
강사명 차형준
강사소속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교육시간 10분 27초
해양 생태계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최근, 홍합을 활용한 ‘접착제’가 개발돼 화제다.
연체동물이 분비하는 가는 실 묶음인 ‘족사’에서 힌트를 얻어
하이브리드 생체 접착소재를 만들어 낸 것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해면의 추출물로 항암제를 만들고,
청자고둥을 통해 강력한 진통제를 만들 수 있다는데.

지구 표면적의 71%, 지구 부피의 90%를 차지하는 만큼,
바다 그리고 해양 생태계는 우리의 의식주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와 함께
해양 생태계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고,
나아가 국내 해양생명산업의 발전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샘플강좌는 회원가입없이 영상조회가 가능합니다.
[바다가 보이는 이야기] 안녕하세요,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차형준입니다 여러분은 해 양생태계하면 어떤 게 떠오르시나요? 바닷속 환경 아니냐 라고 약간 막연하게 말씀하신 분도 계실 것 같습니다 그래서 첫 번째 시간인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해양 생태계와 그 안에 있는 해양생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차형준 現)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석좌교수 現)포항공과대학교 바이오신소재연구소 연고소장] [現)(주)네이처글루텍 Co-CEO & CTO 現)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 [해양 생물의 이용과 해양 과학의 발전 해양 생태계와 해양 생물] 해양은 우리가 바다라고 부르고 있죠 지구 표면적의 71%를 차지하고 있고요 지구 부피로 보면 90% 이상을 차지하는 공간이 바로 바다입니다 바다는 아주 다양한 환경 조건 특히 극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도도 굉장히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고 압력도 굉장히 큰 지역도 있고요 빛이 들어가는 공간이 있고 들어가지 못하는 그런 공간도 있고요 영양분도 굉장히 부족한 지역이 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은 생명체가 살기에는 굉장히 좋지 않은 환경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해양생물이라고 하면은 여러분들은 어떤 것들을 주로 생각하시나요? 생선이라든가이 해조류들을 우리가 생각을 할 수 있지만 그 이외에도 해양 동물 해양 식물을 비롯해서 바이러스라든가 이 해양 미생물들 자 다 이 해양에 사는 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양동물로는 우리 무척추동물,어류 파충류,조류 그리고 포유동물과 같은 육지 생물과는 굉장히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양식물은 이 동식물성 플랑크톤을 다 포함해서 이 해수와 퇴적층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고 있고요 해양 바이러스는 해양의 약 10의 30승 이상의 개체가 존재하는 굉장히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양생물은 굉장히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우리 전체 생물에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현재 1% 미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직도 잘 모르는이 미지의 지역에 있는이 해양생물들을 활용해야 되는 그런 시기가 바로 오고 있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해양생물에 대해서 각각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해양 미생물입니다 우리가 자급하는 생물들을 다 미생물이라 부르지만 주로 여기서는 지금 박테리아를 주로 얘기하겠습니다 표층수라든가 심층수 그리고 해저토 그리고 해양 동물 안에 또는 해양 식물 안에서도 존재하는 이런 것들이 해양 미생물입니다 해양 미생물은 이 환경에 굉장히 잘 적응하며 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염도가 많은 곳에 할 수 있는 호염성 미생물 그리고 압력이 높은데 살 수 있는 호압성 미생물 낮은 온도에서 살 수 있는 저온성 미생물도 있고요 또 해저 열수구 같이 뜨거운 물이 나오는 곳에 살 수 있는 고온성 미생물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러한 해양성 미생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확보해서 그것을 키울 수 있는 배양 기술이 필요한데 현재 전체 미생물 중에서 1%만이 배양이 가능하고요 그러니까 99%는 배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됐습니다 그래서 현재 이런 미생물들을 좀 잘 활용하기 위해서 이 메타게놈이라고 해서 그래서 우리가 그 안에 있는 유전자 정보 자체를 전체적으로 같이 확보해서 연구하고자 하는 활용 분야가 현재 많이 필요한 상황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해양 미세조류입니다 식물성 플랑크톤을 여기서 주로 말씀드리겠는데요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사이즈의 그런 생명체가 되겠습니다 주로 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요 다이아톰 우리가 규조류라고 부르는 것들을 포함해서 다양한 이런 해양 미세조류가 이 해양에 살고 있습니다 다음은 해조류입니다 우리가 주로 식탁에서 볼 수 있는 그런 해초 종류가 되겠는데요 살고 있는 그 지역에 따라서 종류가 나눠집니다 수심 5M처럼 빛이 좀 많이 들어온 지역에는 이 녹조류가 살고 있습니다 파래라든가 청태 같은 것들이고요 조금 빛이 덜 들어오는 지역에는 갈조류가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시는 이 톳 미역 다시마 그리고 수심 15에서 25M처럼 빛이 좀 많이 안 들어온 지역에는 홍조류라는 김이나 우뭇가사리 등이 살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조류의 색이 다른 이유는 이 들어오는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파장에 따라서 색을 달리 가지고 있습니다 해양 동물은 우리가 주로 많이 볼 수 있는 또 이렇게 생물들이 되겠습니다 이 마찬가지로 수심에 따라서 살고 있는 해양 동물의 종류가 많이 다른데요 수심이 200M 이하에 좀 낮은 데서는 어류와 같은 생선들이 있고 낙지나 문어와 같은 연체동물들 그리고 불가사리 게 새우 같은 것들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또 많은 동물성 플랑크톤이 존재하면서 다른 생물들의 먹이가 되고 있고요 수심이 높은 200M 이상의 심해저로 가면 특수한 어류들이 있고요 또 여러 가지 기타 동물들이 거기에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런 해양생물이 환경 자체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육상과는 다른 생리라든가 대사 시스템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특별한 차이점은 육상은 공기가 매질입니다 바다는 매질이 바로 물입니다 즉 생물과 생물 사이에 물이 있기 때문에 해양생물들은 이 외부 침입에 대한 방어기제 자기보호기능이 매우 발달되어 있습니다 항생물질이라든가 또는 여러가지 독성 물질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그런 물질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우리가 그런 것들을 활용을 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소재들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물의 운동성을 이용해 가지고 플랑크톤 같은 것들은 물에 흐름을 이용하는 그런 운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이 해양에서는 표면에 붙어서 생활할 수 있는 생물들이 있습니다 이걸 우리가 표면 부착성 생물이라고 하고 있고요 우리 먹이를 먹기 위해서 물을 걸러서 물에 있는 먹이를 먹는 필터 피더라는 형태의 생명체들이 존재합니다 또한 이 해양생물들은 서로 소통하기 위해서 화학물질 같은 것들을 만들어서 분비해서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소통이라는 것은 어떤 interaction, 상호작용을 말하는 겁니다 이럴 때 이 생물들이 이 화학물질들을 해양에서 있는 생물들은 주로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해양과 육상은 많은 다른 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물들이 우리가 그런 것들을 잘 활용을 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그런 지식이라든가 어떤 교훈을 얻어낼 수 있을 거라 생각을 합니다 [해양 생물의 이용과 해양 과학의 발전 -해양 생태계와 해양 생물- 지구 표면적 71%,지구 부피는 90%를 차지하는 바다!] [해양 동물, 해양 식물, 해양 바이러스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존재 지구 전체 생물의 80% 이상인 해양 생물 중 상업적 이용은 1% 미만] [해양 생물의 종류 해양 동물, 해양 식물 해양 미세조류(식물성 플랑크톤) 해조류 해양 미생물] [해양 생물의 특성 물이 이동하는 매개체가 됨 최부 공격에 대한 방어기제가 매우 발달 물의 흐름을 개체의 운동성으로 이용 표면에 붙어서 자생하는 경우도 있음] 오늘 강의 어떠셨나요? 새삼 바다가 넓게 보이십니까 오늘 알아본 해양생물이 이렇게 다양한 만큼의 우리 활용도도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바다를 생물자원의 보고로 재인식했다고 합니다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해양생물자원 관련 연구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해양생물을 활용한 해양생명산업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바다가 보이는 이야기]

 학습목차

학습목차표_회차, 회차명, 강의시간으로 이루어짐
회차 회차명 강의시간
1강 해양 생태계와 해양생물 10분 27초
2강 해양 생물과 해양생명산업 10분 31초
3강 해양바이오 기술 개발 성과 10분 33초

 학습목표

1강) 해양 생태계와 해양 생물
2강) 해양 생물과 해양생명산업
3강) 해양바이오 기술 개발 성과